티스토리 뷰
목차
이번에는 투자의 실패사례와 성공으로 가는 투자를 위해 어떤 원칙을 어떻게 세워야 하는지
알아본다.
1) 종목 찍어 주기는 망하는 길
예나 지금이나 주변사람들 중에 무턱대로 종목을 찍어 달라고 하는 사람들이 가장 곤란하다.
등쌀에 못이겨서 종목을 추천해 줬는데 기대만큼 수익이 안 나면 그처럼 난처한 일이 또 있을
까? IT버블이 끓어 오르면서 벤처 스타들이 떠올랐고 초입에 투자를 했던 사람들은 돈을 많이
벌었다. 그러나 이미 많은 수익을 내고도 버블이 계속 지속될 것이라는 생각에 더 큰돈을 투자
했다가 결국 나스닥 발 거품붕괴가 한국으로 이어지면서 모든 수익을 다 까먹고 깡통계좌로
전락해 빚더미에 오른 사람도 많았다. 개인투자자 중 많은 사람이 안고 있는 문제는 단기적인
시각 밖에 없다는 것인데 이 점이 주식투자에 실패하는 첫번째 이유이다. 주식투자는 먼저 큰
그림을 보고 그다음 나무를 보아야 하는데 큰 숲은 볼 생각은 하지 않고 당장에 눈앞에 있는 나
무만 보려고 하는 것이다. 먼저 전 세계의 경제흐름을 보고 그다음 우리나라의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미국의 경제는 어떤지 보고, 아시아경제, 그리고 한국경제 순으로 범위를 좁혀서 살펴봐
야 한다. 종목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으면 실패를 예약하는 것과 다름없다. 최근 들어 인터넷 메
신저를 통해 이른바 '리딩방'이 유행한다. 주식 고수라는 사람들이 고수를 자처하면서 매일 종목
을 추천해 주면 우르르 달려가 매입한다. 그런데 리딩방을 운영하는 리더가 진짜 전문가인가?
리딩방은 유사투자 자문업자로 신고만 하면 영업할 수 있으므로 진짜 자격이 있는 전문가인지
알 길은 없다. 어떤 언론 기사들을 보면 심지어는 주식투자를 해본 경험이 없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심지어 추천해 주는 종목도 전날 장종료 후 시간 외 거래에서 급등한 종목을 추천해 주기
도 한다고 한다. 증권사 앱에서도 충분히 알 수 있는 정보를 전문가랍시고 돈을 받아가면서 추천
해 주고 있다는 것이다. 주식투자를 하면서 가장 조심해야 할 것이 누군가가 추천해 주는 종목,
찍어주는 종목이다. 주식초보라서 잘 모르겠다고만 하지 말고 최소한 인터넷사이트에서 제공하
는 재무정보라도 한번 보아야 하지 않겠는가. 인터넷 검색 몇 번이면 주요 재무지표를 보는 방법
을 텍스트나 동영상으로 터득할 수 있다. 이 정도도 하지 않으면서 '주식 초보라서 아무것도 모르
니 종목을 찍어 달라고만 하면 이는 사실 게으른 것이다. 가치투자라고 말은 많이 하지만 실제로
기업의 가치를 알아볼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남들이 찍어 주는 종목과 테마주를 쫓아다니면
서 투자하는 사람은 단기적으로 돈을 벌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결국 돈을 잃을 수밖에 없다.
다양한 자료를 참고해서 산업의 가치를 파악하고 자신의 가치관을 정립해서 기업의 가치를 판단
할 수 있는 사람은 자기만의 가치에 따라 투자하면서 장기적으로 큰 수익을 거둘 수 있다.
2) 빚투는 조급증을 부르고 실패한다.
주식투자에 실패하는 또 다른 이유는 남의 돈을 가지고 투자하기 때문이다. 영끌이나 빚투 같
은 말은 바로 남의 돈으로 투자하는 것을 말하는 말이다. 대출로 투자하는 것을 무조건 막을 수
는 없지만 정말로 자신이 그 이자 부담을 감당해 낼 수 있는지 잘 생각해 보아야 한다. 단기간에
큰 수익을 낼 수 만 있다면 문제는 없지만 투자에 절대 보장된 미래는 없다. 기대만큼 수익이 나
지 않으면 이자 부담이 확 커지기 마련이다 조급증이 고개를 들게 된다. 주식투자는 진득하고
신중한 관찰력이 있는 사람이 돈을 버는 시장이다. 빚으로 투자하면 그런 마음이 생기기는 어렵
다. 조급증은 두 가지 방향으로 작용한다. 하나는 공포심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정리하고 나오고
싶어서 공포심에 투매하고 손을 털게 되는 것이다. 또 한 가지는 더 큰 투기심리에 빠지는 것이다.
전보다 더 위험한 마인드다. 수익이 안 나거나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부담스럽지 않은 이자 수준을
신중히 잘 유지해야 한다.
3) 투자원칙은 망하지 않는 원칙이다
투자로 돈을 버는 사람과 잃는 사람의 차이점은 투자원칙이 있는지를 꼽는다. 나는 정기적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원하니 배당을 많이 해주는 종목에 투자하는 것도 하나의 원칙이다. 각자 투자
의 성향이나 자금의 규모, 시기가 다르니 그에 맞게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좋다. 부동산도 원칙
이 중요하다. 우선 수급부터 분석해야 한다. 수급을 분석한다는 것은 수요가 어느 쪽에 몰리는
지, 정부가 어떤 정책을 쓰는지, 이 두 가지를 파악한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이 부동산투자에 실
패하는 이유는 뉴스에 쉽게 현혹된다는 것이다. 뉴스는 결과를 보도하는 것이지 전망과 예측을
하지는 않는다. 뉴스에서 영끌이니 패닉바잉이니 하면 거기에 혹해서 투자하는데 이는 상투를
잡는 꼴이 된다. 시장이 가라앉으면 언론은 공포를 조성하는 기사를 쏟아내게 되는데 여기에
넘어가면 또 기회를 놓치고 마는 것이다.
결론
결국은 상식적인 투자를 유지하는 것이 성공의 초석인 셈이다. 원칙을 세워 지키려고 노력하고
스스로 노력하는 투자, 무리하지 않는 투자가 답인 것이다.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팬데믹 이후 동학개미운동,주도주찾기,실패하지 않는 투자 (0) | 2024.02.13 |
---|---|
코로나 이후 떠오르는 언택트, 바이오와 헬스케어, 그린 (0) | 2024.02.12 |
경제위기해결수단 유동성공급, 한국판 뉴딜, 밀레니얼 세대 (0) | 2024.02.10 |
전염병의 습격, 자영업의 몰락과 동학 개미운동 (1) | 2024.02.08 |
2008 금융위기의 공포, 관망, 현금자산의 중요성 (0) | 2024.02.07 |